맨위로가기

안동 권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 권씨는 신라 김알지의 후손인 권행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930년 고려 개국에 공을 세운 권행에게 고려 태조가 권(權)씨 성을 하사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안동을 본관으로 한다. 고려 시대에는 권수평, 조선 시대에는 현덕왕후 등 왕실과 인연을 맺으며 다양한 관직을 배출했다. 검교공파, 추밀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주요 인물로는 권율, 권람 등이 있다. 2015년 기준 약 70만 명이 안동 권씨이며, 경상북도 안동시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 집성촌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 권씨 - 권영세 (1959년)
    권영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 주중국 대사,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 통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12월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임명되었다.
  • 안동 권씨 - 권정달
    권정달은 육군 출신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김영삼 정부 이후에도 정계 활동을 이어갔으며, 한국자유총연맹 총재를 역임했다.
안동 권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동 권씨 문중
안동 권씨의 종문
성씨안동 권씨
한자 표기安東 權氏
관향경상북도 안동시
시조권행(權幸)
원시조김알지(金閼智)
나라한국
집성촌경상북도 안동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대종회안동권씨 대종회
인구 (2015년)696,317명
인구 순위11위
주요 인물
인물권수평
권단
권렴
수비 권씨
권한공
권중화
권근
권우
권전
권담
권제
권규
권총
권람
귀인 권씨
현덕왕후
권절
권경유
권균
권철
권덕여
권율
권징
권종
권준
권협
권시
권대운
권해
권상하
권상유
권일신
권중현
권일
권이혁
권영길
권광중
권경석
권남혁
권선택
권순일
권영세

2. 역사

안동 권씨는 시조 권행(權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권행은 본래 김알지의 후손으로 김씨였으나,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권(權)씨 성을 하사받았다.[1][2]

권수평(權守平)은 고려 고종 때 추밀원부사를 지냈으며,[3] 그의 증손 권부(權溥)는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고, 권부의 아들 5형제도 모두 군(君)에 봉해졌다.

1476년(조선 성종 7년)에 간행된 안동 권씨 추밀공파 성화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족보이다. 《연려실기술》에는 문화 류씨의 가정보가 가장 오래된 족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성화보는 1476년(조선 성종 7년)에 제작한 목판본이며 서거정이 서문을 썼다.

2. 1. 시조 및 기원

권행(權幸)은 신라 김알지의 후손이며 본래 성은 김씨(金氏)이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고창군(高昌郡)에서 김선평(金宣平), 장길(張吉)과 함께 후백제군을 격파하고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대상(大相)으로 임명되었다.[1] 《고려사》에는 흔행(昕幸)으로도 기록되어 있다.[2] 고려 태조는 그의 전공을 치하하며 "정세를 밝게 판단하고 권도를 잘 취하였다[能炳幾達權]"라며 권(權)씨 성을 사성하였다고 한다. 시조 권행의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천등산 능골에 있다.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 개명 장정필(張貞弼)) 세 사람은 고려 창업의 공으로 삼한벽상아부공신(三韓壁上亞父功臣)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제수받았으며 983년(성종 2) 이 세 명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안동시 북문동에 삼태사 묘(三太師 廟)가 세워졌다.

2. 2. 고려 시대

권행(權幸)은 신라 김알지의 후손으로 본래 성은 김씨(金氏)였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고창군(高昌郡)에서 김선평(金宣平), 장길(張吉)과 함께 후백제군을 격파하고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대상(大相)으로 임명되었다.[1] 《고려사》에는 흔행(昕幸)으로도 기록되어 있다.[2] 고려 태조는 그의 전공을 치하하며 "정세를 밝게 판단하고 권도를 잘 취하였다[能炳幾達權]"라며 권(權)씨 성을 사성하였다고 한다. 시조 권행의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천등산 능골에 있다.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 개명 장정필(張貞弼)) 세 사람은 고려 창업의 공으로 삼한벽상아부공신(三韓壁上亞父功臣)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제수받았으며 983년(성종 2) 이 세 명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안동시 북문동에 삼태사 묘(三太師 廟)가 세워졌다.

9세손 권중시(權仲時)의 아들 권수평(權守平)이 고려 고종 때 추밀원부사를 역임하였다.[3] 권수평의 증손인 권부(權溥)가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고, 그의 아들 5형제도 모두 군(君)에 봉해졌다.

3. 본관

경상북도 중북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고창녕국(古昌寧國)이었다. 신라 고타야군(古陀耶郡)이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고창군(古昌郡)으로 고쳐졌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권행(權幸)이 고려 태조를 도운 공으로 안동부(安東府)로 승격되었다. 980년(경종 5년) 영가군(永嘉郡)으로 개칭되었다. 1197년(명종 27) 안동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204년(신종 7) 안동대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308년(충렬왕 34) 복주목(福州牧)으로 개편되었다가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피난 온 공민왕을 섬긴 공으로 다시 안동대도호부가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의 토성(土姓)으로 권(權)·(金)·강(姜)·조(曺)·(張)·(高)·이(李) 7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 경상북도 안동군으로 개편되었고, 1963년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예천 권씨(醴泉 權氏)는 안동대도호부 예천군의 토성(土姓)인 흔(盺)씨였으며, 호장(戶長)을 세습하였다. 《고려사(高麗史)》에 백제의 장군 흔강(昕康), 929년(태조 12년) 원윤(元尹) 흔평(昕平),[4] 930년(태조 13년) 흔행(昕幸), 936년(태조 19년) 흔악(昕岳) 등의 기록이 보이는데, 1198년(고려 신종 원년)에 신종(神宗)이 명종(明宗)의 구휘(舊諱)를 피하여 흔씨(昕氏)에게 권(權)으로 성(姓)을 고쳐 주었다고 한다.[5]

4. 분파

파명파조
검교공파(檢校公派)권척
광석공파(廣石公派)권대의
군기감공파(軍器監公派)권사발
동정공파(同正公派)권체달
별장공파(別將公派)권영정
복야공파(僕射公派)권수홍
부정공파(副正公派)권통의
부호장공파(副戶長公派)권시중
수중공파(守中公派) (종파)권수중
시중공파(侍中公派)권인가
좌윤공파(佐尹公派)권지정
중윤공파(中允公派)권숙원
호장공파(戶長公派)권추
추밀공파(樞密公派)권수평
급사중공파(給事中公派)권형윤


5. 주요 인물

안동 권씨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성명출생학력지위
권수평고려시대과거급제추밀원부사
권위(權韙)고려시대과거급제한림학사
권단1228년과거급제지첨의부사
권부(權溥)1262년과거급제영가부원군
권한공고려시대과거급제예천부원군
권근1352년과거급제찬성사
권진1357년과거급제우의정
권제1387년과거급제우찬성
권람1416년과거급제좌의정
권벌1478년과거급제우찬성
권율1537년과거급제도원수
권협1553년과거급제예조판서
권대운1612년과거급제우의정
권대재(權大載)1620년과거급제호조판서
권상하1641년과거급제우의정
권중현1854년과거급제조선귀족 자작
권동진1861년과거급제함안군수
권봉수1870년과거급제중추원 찬의
권중환1890년과거급제청송군수
권이혁1923년미네소타 대학교 보건학 석사제26대 문교부 장관
권영해1937년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30대 국방부 장관
권영우1942년성균관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1·12대 국회의원
권광중1942년서울대학교 법학 학사제13대 사법연수원장
권경석1946년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7·18대 국회의원
권남혁1949년서울대학교 법학 학사제16대 부산고등법원장
권선택1956년성균관대학교 경영학 학사제17·18대 국회의원
권순일1959년컬럼비아 대학교 법학 석사제20대 중앙선관위 위원장
권영세1959년하버드 대학교 행정학 석사제42대 통일부 장관
권영진1962년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제33·34대 대구광역시장
권영택1962년경북대학교 공학 석사제46·47·48대 영양군수


5. 1. 고려, 조선

성명출생학력지위
권수평고려시대과거급제추밀원부사
권위(權韙)고려시대과거급제한림학사
권단1228년과거급제지첨의부사
권부(權溥)1262년과거급제영가부원군
권한공고려시대과거급제예천부원군
권근1352년과거급제찬성사
권진1357년과거급제우의정
권제1387년과거급제우찬성
권람1416년과거급제좌의정
권벌1478년과거급제우찬성
권율1537년과거급제도원수
권협1553년과거급제예조판서
권대운1612년과거급제우의정
권대재(權大載)1620년과거급제호조판서
권상하1641년과거급제우의정
권중현1854년과거급제조선귀족 자작
권동진1861년과거급제함안군수
권봉수1870년과거급제중추원 찬의
권중환1890년과거급제청송군수

5. 2. 근현대

성명출생학력지위
권이혁1923년미네소타 대학교 보건학 석사제26대 문교부 장관
권영해1937년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30대 국방부 장관
권영우1942년성균관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1·12대 국회의원
권광중1942년서울대학교 법학 학사제13대 사법연수원장
권경석1946년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7·18대 국회의원
권남혁1949년서울대학교 법학 학사제16대 부산고등법원장
권선택1956년성균관대학교 경영학 학사제17·18대 국회의원
권순일1959년컬럼비아 대학교 법학 석사제20대 중앙선관위 위원장
권영세1959년하버드 대학교 행정학 석사제42대 통일부 장관
권영진1962년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제33·34대 대구광역시장
권영택1962년경북대학교 공학 석사제46·47·48대 영양군수


6. 집성촌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안흥동, 서부동, 율세동, 신세동, 법상동, 노하동, 동부동)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 중가리, 가야리, 주계리, 이하리, 이상리)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가곡리, 구호리)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연곡리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신석리, 원림리)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노동리, 막곡리)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사월리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명동리, 이재리)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국곡리, 광연리)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송천리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예천읍 왕신리, 지보면 수월리)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국당리, 문무대왕면 구길리, 안강읍 두류리, 내남면 (망성리, 안심리), 율동, 평동)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 옥산면 (구성리, 입암리), 다인면 삼분리)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 진보면 (후평리, 이촌리, 진안리, 광덕리))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산리, 석적읍 도개리)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장암리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일원, 영순면 사근리)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봉성면 원둔리)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 모서면 대포리)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림리, 궁기리)
경상북도 경산시 정평동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본리리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다라리
경상남도 진주시 수정동
경상남도 마산시 진전면 오서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노동리, 왕산면 송현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하장면 일원
강원도 통천군 서면 송탄리
강원도 평강군
대전광역시 중구 (정생동, 목달동, 무수동)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 청송리)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남성리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정용리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소이면 갑산리)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야동리, 복탄리)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석탄리, 양평군 양서면, 양주시 덕계동 도둔이, 연천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 모현읍)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가월리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송면 학천리, 김제시 죽산면 신흥리,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신남리), 구림면 일원, 적성면 일원)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행안면 신기리,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 임상동))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오산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 영원면 은선리, 정우면 장순리, 태인면 매계리)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고달리, 광양시 옥룡면 죽천리, 나주시 봉황면 욱곡리)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기곡리, 용면 두장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
황해북도 (봉산군 기산면 북천중, 서흥군 매양면 양사리)
황해남도 신천군 (궁흥면 성암리, 문무면 추령리, 용진면 삼봉리)
함경남도 문천군 명귀면 (장발리, 수치리)


7. 인구

안동 권씨 인구
연도인구 (명)
2000년629,291
2015년696,317


참조

[1] 간행물 고려사 권57 지 권제11 http://db.history.go[...]
[2] 간행물 고려사 卷八十二 志 卷第三十六 http://db.history.go[...]
[3] 간행물 『고려사』 권102, 열전15 https://terms.naver.[...]
[4] 간행물 고려사 卷八十二 志 卷第三十六 http://db.history.go[...]
[5] 간행물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예천군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